블록체인
세그윗(Segwit) 이란?
세그윗 속도와 확장성 개선을 위한 시도중 하나 블록의 용량 증대를 통한 개선 방법 SegWit = Segregated Witness, 비트코인의 블록에서 디지털 서명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고정된 블록의 가용 공간을 늘려서 속도를 개선 비트코인 블록 = 디지털 서명을 저장하는 공간 + 그외 데이터(트랜잭션등)을 저장하는 공간 거래가변성 문제 모든 비트코인 거래는 해당거래를 식별할 수 있는 거래의 ID (Transaction ID :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디지털 서명은 비밀번호다. 거래가변성은 실질적인 거래내용에는 변화가 없지만, 거래 id만 변경하여 새로운 거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버그 세그윗이 TXID를 따로 보관하고 관리함으로써 여러개의..
[Layer-2] 블록체인에서 레이어 솔루션이란?
블록체인의 레이어 솔루션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고도로 보안이 보장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데이터의 위변조나 삭제가 불가능하며, 이는 블록체인 기술의 큰 장점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상 대규모 거래를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레이어 솔루션입니다. 레이어 1 솔루션 ■ 기존 블록체인의 규칙 또는 메커니즘을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것 ■ 블록체인을 직접적으로 개발하는 코어팀 담당 ■ 합의 알고리즘 개선 샤딩 (Sharding) ■ 인기있는 레이어 1 확장 솔루션 ■ 트랜잭션을 샤드라고 하는 더 작은 데이터 세트로 나눈다. 샤드는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병렬로 처리되므로 동시..
분산DB와 블룸필터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분산 원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클러스터링, 레플리케이션, 샤딩 머클트리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세요. 블록체인에서 머클트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블룸필터의 동작 방식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세요. DAG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그래프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암호화폐에서 DAG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DHT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해시 테이블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DHT에서 정보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분산DB의 한 종류 분산 데이터베이스 하나의 DB관리 시스템으로 여러 cpu에 저장장치들을 제어하는 형태의 db 물리적으로 여러위치에 분산 저장하고 흩어져 있는 시스템이지만, 논..
스테이블 코인은 왜 필요한가요? (Feat. 테라, 루나 코인)
목차 스테이블 코인이 뭐죠? 테라,루나는 왜 만들었나요? [테라 시스템] : 가치안정화 메커니즘 테라루나 사태 정리 1. 스테이블 코인이 뭐죠? '수수료' '가상화폐의 큰 변동성' 내가 들고 있는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바꾸려면 가상화폐거래소에 돈을 들고가 환전을 해야합니다. 환전에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내가 암호화폐 관련한 사업을 한다고 하면, 환전에 여러번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할것입니다. 내가 들고 있는 암호화폐의 가치가 떨어질수도 있기 때문에 불안해.. 암호화폐 자산들이 과연 교환의 매개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암호자산으로 1. 무언가를 교환하거나, 2. 금융 활동에 참여하거나, 3.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가격 변동성이 비교적으로 적거나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났고, 스테이블 코인이 등장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