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sett
개발자의 하루
Supersett
Blockchain Dev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프론트
    • 회사생활
    • 블록체인
    • 프로젝트
      • 창업 프로젝트 (DRF + AWS)
      • Spring 프로젝트
    • [중앙대]멋쟁이 사자처럼
    • 기술서적
    • Problem Solving
      • 알고리즘
    • 일기장
      • 하루 정리
      • 삽질 일기
      • 조급할 때 눌러보기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디프만16기
  • Near Explorer
  • 멋쟁이 사자처럼 면접
  • 니어프로토콜
  • 멋사 중앙대
  • 국비지원
  • 멋쟁이 사자처럼
  • 블록체인 서버설계
  • 멋쟁이사자처럼 중앙대
  • 국비
  • 블록체인정보가공
  • Luniverse
  • 신입개발자
  • 프로젝트
  • 비트코인
  • 취업준비
  • 컴퓨터학원
  • 구글소셜로그인
  • 글리치해커톤
  • java
  • 자바스크립트
  • 멋쟁이 사자처럼 서류
  • 국비교육
  • 해커톤
  • 면접준비
  • 초보개발자
  • 자바
  • DEPROMEET
  • Multichain API
  • Near Scan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Supersett

개발자의 하루

스테이블 코인은 왜 필요한가요? (Feat. 테라, 루나 코인)
블록체인

스테이블 코인은 왜 필요한가요? (Feat. 테라, 루나 코인)

2023. 4. 10. 10:54


목차

  1. 스테이블 코인이 뭐죠?
  2. 테라,루나는 왜 만들었나요?
  3. [테라 시스템] : 가치안정화 메커니즘
  4. 테라루나 사태 정리

1. 스테이블 코인이 뭐죠?

'수수료'  '가상화폐의 큰 변동성'

내가 들고 있는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바꾸려면 가상화폐거래소에 돈을 들고가 환전을 해야합니다.

환전에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내가 암호화폐 관련한 사업을 한다고 하면, 환전에 여러번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할것입니다.

내가 들고 있는 암호화폐의 가치가 떨어질수도 있기 때문에 불안해..

암호화폐 자산들이 과연 교환의 매개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암호자산으로

1. 무언가를 교환하거나,
2. 금융 활동에 참여하거나,
3.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가격 변동성이 비교적으로 적거나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났고, 스테이블 코인이 등장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정화폐와 1:1 가치로 "페깅"된 디지털 자산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페깅이란 어떤 코인이 달러나 유로 같은 자산을 따라가 가격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테이블 코인이 페깅하는 방식은 발행 시점에 담보로 둔 자산의 특성에 따라 구분됩니다.

 

1. 중앙화된 페깅

중앙화된 시스템이 코인의 가치를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USDT(Tether)는 Tether Limited라는 회사에서 달러를 보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USDT를 발행합니다.

 

2.분산화된 페깅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코인의 가치를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DAI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하며, ETH를 담보로 발행됩니다.

 

3.알고리즘 페깅

시장에서 코인의 가치를 추적하면서, 알고리즘에 의해 가격이 조절됩니다. 예를 들어, FRAX는 시장 가격과 FRAX의 토큰 공급량을 고려하여 가격을 조절합니다.

 


2. 테라 루나는 왜 만들었나요?

테라는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지불 시스템 및 화폐와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테라는 스테이블 코인 입니다.

테라시스템(알고리즘 페깅 방식)을 사용하며 테라토큰의 가치안정화를 위해 루나 토큰의 공급량을 고려해서 가격을 조절합니다.


3. 테라 시스템 : 가치안정화 메커니즘

언제든지 1Terra를 1USD에 해당하는 Luna로 교환해줍니다.

반대로 1USD에 해당하는 Luna를 언제든지 1Terra로 교환해줍니다.

결국 수요와 공급 법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4. 테라 루나 사태 정리

그래서 무슨 일이 일어난거죠?

 

알고리즘이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이 되지 않았습니다.

 

코인의 가격이 갑자기 크게 하락하다보니, 테라의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내려갔는데, 이를 위기로 느낀 테라 소유자들이 테라를 판매하고 1달러어치의 루나를 발급받았다. 패닉셀이 일어나면서 순간적으로 루나의 발행량이 늘어났고, 루나의 값어치가 또 떨어진다.

 

이를 본 테라 홀더들은 더더욱 스테이블의 역할을 못하는 것을 깨닫게 되고, 테라를 더 팔게 되고 테라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서 동시에 루나의 발행량도 늘어가면서 화폐의 값어치가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ckathon] NEAR Protocol(니어 프로토콜)이란?  (0) 2023.05.01
🎯Next Level을 위한 단기 목표 선언 + 4월 간단 회고  (0) 2023.04.27
세그윗(Segwit) 이란?  (0) 2023.04.19
[Layer-2] 블록체인에서 레이어 솔루션이란?  (1) 2023.04.19
분산DB와 블룸필터  (0) 2023.04.14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xt Level을 위한 단기 목표 선언 + 4월 간단 회고
    • 세그윗(Segwit) 이란?
    • [Layer-2] 블록체인에서 레이어 솔루션이란?
    • 분산DB와 블룸필터
    Supersett
    Supersett
    하루를 돌아보고 공부한 티를 내기 위해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