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멋쟁이 사자처럼

220323 [수] 1차 세션 웹(WEB)

Supersett 2022. 3. 23. 19:31

[웹이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

간단히 줄여서 WWW나 W3라고도 부르며, 간단히 웹(Web)이라고 가장 많이 불린다.

ㅡ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요청과 응답]

요청(request) ← → 응답(response) 의 구조로 되어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HTTP request 를 보내고,

서버가 HTTP response 를 돌려보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모든 통신이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다

[HTTP Method 란?]

  • HTTP request가 의도하는 action을 정의한것.

GET

  • 요청 입장에서 데이터 가져올때
  • 이름 그대로 어떠한 데이타를 서버로 부터 받아(GET)올때 주로 사용하는 Method.

POST

  • 요청 입장에서 데이터를 포스팅할때
  • 데이터를 생성/수정/삭제 할때 주로 사용되는 Method.

[응답코드의 의미]

  •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다
  •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브라우저란?]

웹페이지,이미지,비디오 등의 콘텐츠를 수신, 전송 및 표현하는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써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 접속하고 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를 운영한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고, 렌더링 엔진을 사용해 이를 텍스트 및 이미지 등으로 변환한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란?]

HyperText(웹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것) 기능을 가진 문서를 만드는 언어.

구조를 설계할때 사용되는 언어. 웸페이지를 위한 마크업 언어

 

[CSS(Cascading Style Sheet)란?]

CSS 는 사용자에게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언어. 스타일이 종속적으로 적용된다.

 

[JS(Java Script)란?]

입력을 처리하고 정적인 html을 동적으로 만들어주는 역할

-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으로 콘텐츠를 바꾸고, 멀티미디어나 움직이는 이미지 등 웹페이지를 꾸며주도록 도와줍니다

-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주로 웹 개발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내장 객체에도 접근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응용 범위가 무궁무진합니다. 이 강좌에서 주로 다루게 될 Node.js 또한 자바스크립트를 품고 있는 개발 플랫폼입니다.

 

 

JSX - js

FLEX - css

 

[html 양식 자동완성 단축키]

!누르고 [tab]누를시 

 

[메타데이터]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 하나의 데이터에 다른 데이터가 이어지는 개념. 속성정보라고도 불린다.

[div 태그]

div태그는 Division의 약자로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전체적인 틀)을 만들때 주로 사용합니다. div는 웹페이지에서 논리적 구분을 정의하는 태그입니다. div 태그를 사용하여 각각의 블록(공간)을 알맞게 배치하고 CSS를 활용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html]article, section, div 대체 차이가 뭐야?

html5에서 위 태그들이 생겨난 이유는 각 목적에 맞게 시멘틱한 태그를 써라 입니다.
다른 사용자들이 이 코딩을 봤을때, 맥락을 잘 이해시킬 수 있게끔 코딩하면 됩니다.

각 영역에 맞게 header, main, footer 등 정확한 구분을 해주고,
공지사항, FAQ, 고객센터 같은 게시판 영역이라면 해당 영역에 article을 써주고,
그 외 논리적인 구분은 모두 section으로 처리하면 될것 같습니다.
굳이 구분이 필요없고, 블럭요소가 필요하다면 div 를 쓰면 되겠구요.
출처: https://grahams.tistory.com/346 [MakeDesire]

 

[ul li 만드는 꿀팁]